매뉴얼웍스가 제공하는 챗봇은 매뉴얼웍스로 작성한 문서의 내용에서만 답변합니다. 따라서 챗봇이 답변할 때 사용할 문서를 설정해야 합니다.
챗봇 AI 에이전트 설정
백터 저장소에 있는 문서 추가
매뉴얼웍스의 챗봇은 설정된 문서 내에서만 답변하도록 제한되어 있습니다.
챗봇이 질문에 답할 때 참고할 문서를 추가합니다. <AI | 벡터 저장소> 메뉴에서 임베딩한 문서만 추가할 수 있습니다. 챗봇을 처음 시작할 때 사용자에게 참고하는 문서 목록을 보여줍니다.
문서를 임베딩할 때 사용한 1AI 모델이 같은 문서만 추가할 수 있습니다. 임베딩 모델마다 유사도 측정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혼용이 불가능합니다.
한 문서를 여러 임베딩 모델로 벡터화했어도 동일한 문서일 경우, 챗봇에는 해당 문서 중 하나만 추가할 수 있습니다.
챗봇이 답변할 때 참고하는 문서가 많으면 답변 속도가 느려집니다. 매뉴얼웍스를 운영하고 있는 시스템 환경에 따라 다르기에 정확한 기준은 없으며 경험적으로 조정해야 합니다. REST API 요청 및 응답을 로그 파일에 기록하도록 설정하면 벡터 검색에 걸린 시간도 함께 기록됩니다.
는 <2테스트> 링크를 클릭해서 챗봇에서 질문했을 때의 벡터 저장소 검색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. 마크다운 형식으로 결과를 제공합니다.
웹 뷰어에서 챗봇을 표시할 문서를 선택
웹 뷰어에서 챗봇을 표시할 문서를 추가합니다.
챗봇 공개하기
다른 AI 어시스턴트와 달리 챗봇은 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에게도 공개할 수 있습니다.
<AI | AI 어시스턴트> 메뉴로 이동합니다.
AI 어시스턴트 목록에서 공개할 챗봇을 선택하여 클릭합니다.
“옵션” 패널에서 토글 버튼을 클릭하여 <1공개하기>를 선택합니다.
CHATBOT_CONTEXT_SIZE 옵션으로 AI 전달할 데이터 숫자 설정하기
벡터 저장소를 검색한 결과 중 CHATBOT_CONTEXT_SIZE 옵션의 숫자만큼 AI 모델에 전달합니다. 기본 값은 10이고, 변경하려면 콘솔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합니다.
set-preference -name CHATBOT_CONTEXT_SIZE -value 5
독립적으로 챗봇 사용하기
웹 뷰어와 상관없이 챗봇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iframe
태그를 이용해서 원하는 위치에 챗봇을 넣을 수 있습니다.
<iframe src="http://127.0.0.1:1975/r/chatbot/open/${uuid}"></iframe>
다음을 참고합니다.
http://127.0.0.1:1975를 운영하고 있는 매뉴얼웍스 주소로 변경합니다.
${uuid}
를 챗봇의 아이디로 변경합니다.챗봇을 시작하는 버튼 등은 매뉴얼웍스와 상관없이 직접 구현해야 합니다. 해당 버튼 클릭 시
iframe
을 통해 챗봇이 시작되도록 구성합니다.